분류 전체보기 33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전염성 (중간 숙주, 인간 간 전염)

2. COVID-19의 전염성 (Contagiosity of COVID-19 and its mortality rate) 2.1. 감염 경로2.1.1. 중간 숙주는 무엇인가 2.1.1.1. 박쥐의 가능성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초 감염자들은 화난수산물시장에서 종사하거나 방문하는 사람들이었는데, 이 곳은 수산물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이 불법적으로 거래되기도 한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대표적인 인수공통감염 바이러스이기때문에 최초의 감염자들은 동물로부터 감염되었을 확률이 매우 높다. 즉, '중간 숙주'의 존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이다. '중간 숙주'를 파악하는 것은 질병의 통제 및 치료법 개발 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진들이 이를 확인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그 중 2..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발생과 현황

1.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COVID-19의 출현 (The emergence of COVID-19) COVID-19는 2019년 12월 31일 중국 후베이성의 우한시에서 원인불명의 폐렴 환자 27명이 발생해 격리치료 중이라고 발표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이후, 1월 9일 중국중앙방송(CCTV)의 보도를 통해 해당 폐렴이 RNA 바이러스의 일종인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의 신규 종(species) 감염이 원인이라는 것을 발표 [1]하였으며, 현재까지 중국 내 감염자 수 증가 뿐만 아니라 한국을 비롯한 동일 권역(대륙) 내 다른 국가, 그리고 미국, 캐나다와 같은 북미 지역 등 아프리카와 남미 대륙을 제외한 전 대륙에서 전염자가 발생함으로써 전세계적인 대유행병(pandemic)*으로 발전하였다..

블로그 운영을 해볼까 한다.

어피티같은 뉴스레터 등에서 블로그를 이용한 passive income 창출에 대한 내용을 알게되고 나서 블로그가 일종의 '활자형 유투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물론 passive income도 매력적이긴 하지만 그것보다 근본적으로 블로그라는 수단에 끌리게 된 이유도 있다. 유투버를 하기에는 얼굴 팔리는 데 자신이 없고, 그렇다고 하기에는 세상 많은 input들에 대한 재구성화 및 그 기록을 남기고 싶어하는 나이기에 일종의 브이로그가 필요하다 느끼던 참이었는데 나로써는 이 블로그가 좋은 output의 통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여기에 필요한건 조금의 의지와 시간 투자. ​ 이미 내 머리를 스쳐간 많은 지식의 수증기들을 뒤로 하고, 이제부터라도 알고 있던 것이나 새롭게 알게 된 것들..

Etc. 2020.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