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Science/COVID-19 15

[Issue] COVID-19 - 재감염 사례 보고가 내포하는 백신의 한계점과 기회

1. COVID-19의 재감염 사례 - 이전에도 COVID-19 재감염으로 의심되는 사례들이 등장하긴 했으나, 8월 15일 처음으로 문서화된 COVID-19 재감염 사례가 확인됨 (8/25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저널에 published 됨, 8/23 received 8/25 published라니 부럽다..) [1, 2] - 3월에 초기 감염 후 회복되었던 사람이 8월 홍콩 입국 시 공항 검사에서 발견 - 2번의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분석 (genome sequencing*) 해본 결과, 24개의 뉴클레오티드**에 차이가 있는 것 확인 (그림 1) →1개의 stop codon (position 64 of orf8) + 23개의 nucleotide (그 중 13개는 non-syn..

[Issue] COVID-19 - 백신 톺아보기 (COVID-19 Draft landscape)

1. COVID-19 백신 draft landscape 소개 - 원래 아스트로제네카, 시노백, 모더나가 임상 3상에 들어간다고 했을때, 3개에 집중하여 정리를 해보고자 했으나 워낙에 다사다난한.. 일들이 많이 벌어지고 있어서 COVID-19 백신 landscape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소개하고자함 링크 주소 [1] : www.who.int/publications/m/item/draft-landscape-of-covid-19-candidate-vaccines - 링크타고 들어가면 WHO에서 제작한 백신 개발 상황표로써, clinical / preclinical pipeline들을 list-up해둔 문서를 다운로드해서 볼 수 있음 - Clinical phase에 들어간 제품에 대해서는 각각의 임상시험 식..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COVID-19진단기술정리와 신규 기술 SHERLOCK

1. COVID-19 진단 검사 1.1. 진단의 중요성 - COVID-19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치료법 개발만큼이나 진단 기술의 개발이 중요 - 진단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대표적 요소는 신속성, 정확성, 용이성 [1] - 즉, 좀 더 간단한 방법으로,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좀 더 정확한 진단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초기 질병 억제의 핵심 1.2. 주요 방법 - 주요한 COVID-19 진단 방법으로는 분자진단 (PCR 검사), 면역화학진단 (항원, 항체 검사)이 대표적 - 분자진단이란 SARS-CoV-2의 RNA 등 인체의 핵산(DNA, RNA)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진단방법 →검체 내 병원균 특이적 유전자가 증폭되는지 여부로 감염여부를 진단 ex) 씨젠의 Allplex™ 20..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나파모스타트 = 렘데시비르 수백배의 효과?

1. COVID-19 치료제 뉴페이스 - 나파모스타트 (언론 소개 내용) - 혈액 항응고제 및 급성 췌장염 치료제 성분 '나파모스타트' (제품명: Nafamostat, 성분명: Nafamostat mesilate (그림 1))의 SARS-CoV-2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 확인 - 한국파스퇴르연구소가 약 3천여종 약물을 이용한 SARS-CoV-2 항바이러스 효과 스크리닝을 통해, nafamostat가 remdesivir 대비 수백 배 우수한 수준 확인 [1] ('수백 배 우수'라는 표현의 근거는 밑에 언급) - 관련 연구결과를 '바이오 아카이브 (bioRxiv)'에 5월 12일 게재 [2] / 관련 특허 4월 20일 출원 (특허 내용은 조사 못함) 논문 제목 : Comparative analysis of ..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코로나19(COVID-19) 연구정보포털 소개

1. COVID-19 연구정보포털 코로나19 (COVID-19)에 관한 포괄적이면서도 전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사이트 [1]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1) 링크 주소 : http://kobic.re.kr/covid19 타이틀 설명 kobic.re.kr 해당 사이트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에서 만든 사이트인데, 전 세계에 산재된 COVID-19 관련 연구 데이터 및 뉴스를 한 곳에서 볼 수 있게 정리해두었다. 이전까지 발생 현황 [2], 진단법 [3, 4], 치료제 및 백신 [5, 6, 7, 8, 9, 10]에 대해서 주목할만하다 싶은 내용만을 추려서 게시글을 차례로 올렸는데 이 사이트 역시 이에 대한 국내외 연구결과와 더불어서 유전체 및 단백질 서열 데이터, 유전체 분석을 통한 변이 ..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치료용 백신 개발 현황 (3) COVID-19 치료제 및 백신 파이프라인 총 정리 (Landscape of COVID-19 drug & vaccine)

1. COVID-19의 팬데믹 (pandemic) 아직 WHO의 공식 선언은 없지만 사실상 펜데믹(*3월 12일 추가본 - 드디어 WHO가 3월 11일 COVID-19에 대해 팬데믹을 선언했다[0].)과 다름없는 대규모 감염 및 지역사회 감염사례가 전세계에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 , 이제는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 본격적인 지역사회 감염이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감염자 수와 사망자 수가 늘어날 확률이 높아진 상황이다 [1]. 높은 확률로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는 6-7월 이후에는 대유행 사태가 일시적으로나마 진정될 것으로 보이나, 싱가포르 등과 같은 온난습윤한 기후에서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한 점 [2] 등을 보았을 때 일부 과학자가 지적하듯 이번 SARS-CoV-2가 이전 코로나바이러스들과 ..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치료용 백신 개발 현황 (2.5) '코로나 항체' 발견?에 대한 검증

1. '코로나 항체' 발견? 오늘 (3/4일 자) 하루 종일 N 포털사이트 실검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단어는 '코로나 항체'이다 [1]. 이를 클릭해보면 나오는 얘기들은 사스, 메르스 항체에서 코로나19를 무력화하는 항체를 찾았고 백신 개발의 기대가 커졌다는 기사 내용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2]. 흔히 '항체'는 비전공자가 듣더라도 치료의 이미지가 쉽게 떠오르는 단어다보니 '코로나 항체'란 단어는 COVID-19 감염의 위험에 노출된 현 상황에서 매우 희망적인 단어로 다가왔을 것이다. 특히나 해당 연구가 국내 연구그룹인 한국화학연구원 CEVI 융합연구단 (Center for Convergent Research of Emerging Virus Infection)가 진행한 연구였기에 더욱 시민들의 ..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치료용 백신 개발 현황 (2) 이노비오 INO-4800 (국내: 진원생명과학 관련)

1. COVID-19 백신 개발의 필요성 1.1. 기존 약물의 한계점과 백신 개발의 필요성 정부는 현재까지 이전에 글에서 설명했던 칼레트라(Kaletra), 클로로퀸(Chloroquine phosphate)을 COVID-19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으며 [1], 이전에 중국에서의 최초 승인 소식과 함께 그 작용기전에 대해 언급했던 파필라비르(Fapilavir) [2] 제품인 아비간(Avigan)을 도입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3]. 또한, 에볼라 치료용으로 개발 중이었으나 최근 COVID-19에 효능을 보여 중국에서 임상3상이 진행 중인 길리어드 (Gilead Sciences, Inc.) 사의 렘데시비르 (Remdesivir) 역시 국내에서 임상3상 시험 계획이 신청되었다 [4]. 기존 약물을 이용한 다양한..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코미팜 (Komipharm) 파나픽스 (Panaphix)의 작용기전

1. 코미팜의 파나픽스 (Panaphix) COVID-19 치료제 개발에 성공했다는 내용의 기사 [1]와 함께 연일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코미팜 (KomipharmInternational Co. Ltd.)의 Panaphix (PAX-1-001)에 대해서 내용을 확인한 후, 처음에는 COVID-19 특이적인 치료제가 아니라고 판단하였기에 따로 블로그 글로 게시하지는 않으려 생각했다. 그래도 현재의 진행 상황이나 해당 약물의 장단점, 위험요인 등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이토카인 폭풍에 대한 개념은 정리해두는 편이 좋을 것 같아 글을 쓴다. 현재 상황에 대한 팩트체크와 더불어서, 파나픽스 관련 자료 (2018년 한국IR협의회 발간 코미팜 기술분석 보고서 [2], 당사 홈페이지 소개 내용 [3])을 이용하여..

[Issue] COVID-19 (SARS-CoV-2 감염증) - 피씨엘 (PCL) 항원기반 진단키트 COVID-19 Ag GICA Rapid 작용기전

1. 이슈화된 COVID-19 Ag GICA Rapid 키트 COVID-19 치료용 백신에 관련된 글을 지난 글 [1]에 이어 준비하면서 관련 뉴스들을 보던 중, 2월 27일자인 오늘 이와 관련하여 피씨엘 (PCL)이라는 회사가 COVID-19 감염관련 신속 진단키트를 개발[2]하여 상한가를 기록하는 이슈가 있어 흥미로운 사건이라 판단되어 이를 정리하고자 한다 (그림 1). (*추가적으로, 양성대조물질로써 사용할 코로나바이러스 RNA를 '올릭스'라는 회사가 제공하기로 한 것 같다 [3].) 2. 현재상황 및 작용 기전 우선적으로 언급할 것은 이전에 소개한 씨젠의 AllplexTM 2019-nCoV Assay (Allplex)과 같은 진단 키트들은 모두 판매허가가 난 제품인 반면 [4], 현재 피씨엘의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