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OVID-19 백신 draft landscape 소개
- 원래 아스트로제네카, 시노백, 모더나가 임상 3상에 들어간다고 했을때, 3개에 집중하여 정리를 해보고자 했으나 워낙에 다사다난한.. 일들이 많이 벌어지고 있어서 COVID-19 백신 landscape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소개하고자함
링크 주소 [1] : www.who.int/publications/m/item/draft-landscape-of-covid-19-candidate-vaccines
- 링크타고 들어가면 WHO에서 제작한 백신 개발 상황표로써, clinical / preclinical pipeline들을 list-up해둔 문서를 다운로드해서 볼 수 있음
- Clinical phase에 들어간 제품에 대해서는 각각의 임상시험 식별번호 (NCT# 등)를 클릭하면 임상시험 정보를 확인 가능함 (완료된 phase에 대해서는 study report, interim report 등도 확인가능)
- 캡처는 10/15일자 갱신 화면인데, 현재 42개의 candidate가 clinical stage에, 156개의 candidate가 preclinical stage에 계류 중인 것을 확인 가능
- 각 파이프라인별 개발사, vaccine type, dose schedule 및 route 등에 대해서 확인 가능
- 이를 통해 각 회사들이 대략 어떤 전략으로 백신을 개발하려는지 알 수 있는데, 일전에 소개했던 분류표에서 벗어나는 것 없이 다 비슷비슷한 platform을 이용 (어느 질병이나 그건 마찬가지)
- 백신의 핵심은 SARS-COV-2의 세포 감염을 막아주는 중화항체 (그냥 항체 X)를 생성하는 능력을 미리 부여할 수 있냐 + 감염된 세포를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죽일 수 있느냐 + 이런 면역반응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느냐임.
- 이를 위해서 epitope으로 사용할 부위(virus는 수많은 epitope이 있음) + epitope제공의 형태(DNA, RNA, 단백질) + administration route (i.m., i.d., i.p., oral 등) + adjuvant (면역증강제) 도입 여부 등 다양한 요소에서 경쟁력의 차이가 생길 수 있음
--> 이런 내용들에 대해서는 새로 글을 하나 따로 적겠음
우선적으로 다음 글에서는 미국에서 진행중인 Operation Warp Speed에 대한 소개와 진행 현황, EUA시 주의할 점에 대해 소개하겠음.
References
[1] www.who.int/publications/m/item/draft-landscape-of-covid-19-candidate-vaccines
Copyright 2020. komok’s sight All Rights Reserved.